지속가능경영

CJ대한통운은 경제, 환경, 사회적 책임 기반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겠습니다 .

환경(Environmental)

기후변화 대응 거버넌스

CJ대한통운은 기후변화 및 생물다양성을 포함한 다양한 ESG 이슈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2021년 5월 이사회 산하에 ESG위원회를 신설하여 ESG경영의 최고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2023년 환경경영정책을 제정하였습니다. ESG위원회는 사내이사 2명, 사외이사 4명으로 구성되며, 기후변화 대응과 생물다양성 보전을 포함한 주요 환경 이슈를 기타 ESG 이슈와 함께 관리하고 있으며, CEO가 직접 주관하여 기후변화 및 생물다양성과 관련한 ESG 전략, 계획 및 성과의 이행 현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있습니다. ESG경영협의체는 기후변화 및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핵심성과지표(KPI)를 기반으로 각 부문별 이행 실적을 모니터링하고, 탄소배출량 실적, 민관협력 자원순환 사업 등 현장 중심의 주요 활동에 대한 결과를 검토합니다. 경영지원실 재무담당 산하 ESG팀은 전사 기후변화 대응의 실무 책임을 수행하며, 사업부문별 실무조직이 참여하는 ESG실무협의체를 통해 기후변화 이슈 발굴 및 대응활동을 추진하고, 생물다양성 보전 및 동식물 서식지 조성 등 자연자본 보호 활동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ESG위원회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 로드맵 이행 현황’, ‘2024년 탄소배출 현황’, ‘민관협력 자원순환 물류 사업 시행 결과’ 등과 같은 주요 안건을 논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과 함께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위한 실질적인 ESG 경영 체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4년에는 ESG담당 KPI 로 ‘탄소중립 실행력 및 관리체계 강화’를 포함하였으며, 이들 KPI는 전담조직에 속한 일부 C-Level 임원 및 관리자급 인력의 성과 관리 및 보상에 연계되어 있습니다.

향후 CJ대한통운은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을 ‘기후· 자연자본’이라는 통합 프레임으로 재정의하고, ESG 실무협의체 하위에 기후변화 실무협의체와 생물다양성 실무협의체를 분리 운영함으로써, 각 이슈에 대한 전문성 있는 대응과 동시에 통합적 관리 역량을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TCFD 및 TNFD 기준에 부합하는 정보공개 체계를 정립하고, 이중 중대성과 무관하게 지속 관리되는 핵심 이슈로서의 전략적 우선순위를 명확히 할 수 있는 조직적 기반을 공고히 해 나갈 것입니다.

CJ대한통운은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등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전략적 의사결정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2021년 5월 이사회 산하에 ESG위원회를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ESG위원회는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사업장 인근 생물다양성 등과 관련된 주요 안건을 심의합니다. 또한 ESG경영협의체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 및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KPI를 점검하고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경영지원실은 재무담당 산하 ESG팀 주관으로 ESG실무협의체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 이슈를 발굴하고, 사업장 인근 동식물 서식지 조성과 공생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모니터링하며 지속가능한 경영체계를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두손가락을 이용해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 전략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물리적 위험)

기후변화와 관련된 물리적 리스크는 평균기온 상승, 강수량 변화, 극한기상 현상 빈도 증가, 해수면 상승 등 기후 시스템의 변화에서 비롯되며, 이는 물류 인프라 운영 안정성과 공급망 연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장기적 기후 변화와 단기적 자연재해의 복합적 발생은 물류 거점의 기능 저하, 수송 지연지연, 시설 손상 등 사업 전반에 구조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CJ대한통운은 기후변화로 인한 물리적 리스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운송자산과 고정자산을 구분한 자산 유형별 분석을 바탕으로, CL, 택배, 글로벌, 건설 등 각 사업부문별 주요 영향 요인과 리스크 노출 요소를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자산 피해 가능성과 연계된 예상 재무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기반으로, 부문별 인프라 운영 안정성과 공급망 연속성 확보를 위한 대응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적응 전략을 정교화하고 있습니다.

CJ대한통운은 기후변화로 인한 물리적 리스크를 운송자산과 고정자산을 구분한 자산 유형별 분석을 바탕으로 CL, 택배, 글로벌, 건설 등 각 사업 부문별 주요 영향 요인과 리스크 노출 요소를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있습니다. 운송자산의 주요 영향요인으로는 홍수, 폭염, 화재, 한파 등이 있으며 주요 노출요소로 차량 침수, 파손, 운행 지연, 건설 장비 과열·동파 등이 있습니다. 고정자산의 주요 영향요인은 홍수, 화재, 한파 등이 있으며 대응 우선순위로는 사업부별로 자동화센터 침수/화재로 인한 전력 수급 차질, 허브 및 거점 침수 또는 접근성 저하, 해외 항만·물류시설 운영 차질, 건설현장 공정 지연 또는 자재 변형 등이 있습니다.

두손가락을 이용해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 (전환 위험)

기후변화와 관련된 전환 리스크는 지구평균 온도 상승 및 기후변화 정책, 기술 혁신혁신, 사회적 인식 및 시장 경쟁 요인의 급격한 변화에서 비롯됩니다. 특히, 글로벌 탄소 규제 강화, 고객사의 ESG 요구 증대, 지속 가능한 물류 수요 증가 등이 기존 운영 방식에 전략적 전환 압력을 가하고 있습니다. CJ대한통운은 기후 관련 위험의 규모•발생가능성•성격•기간범위를 고려하여 재무적 영향을 평가하고, 기업 전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기후 관련 위험을 식별하였습니다.

기후 관련 영향의 기간 범위는 단기를 1년 이내, 중기를 1년 초과 5년 이하, 장기를 5년을 초과하는 기간으로 정의하였으며, 식별한 기후 관련 위험이 기업에 미치는 예상 영향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후변화 전환 리스크 분석을 위해 기후 관련 위험이 기업에 미치는 예상 영향 기간을 자산별, 사업부문별로 분석했습니다. 운송자산의 주요 영향요소로는 탄소배출 규제 강화, 친환경 운송수단 도입 확대, 친환경 자재 기준 강화 등이 있으며 사업별 우선 대응 순위로는 탄소 저감형 운송수단 도입, 운송 효율화, 저탄송 운송 루트 개발, 국제 규제 대응 전략 수립 등이 있습니다. 고정자산의 주요 영향요소로는 주요 시설 및 현장의 에너지 소비 증가, 전력 사용량, 건설 자재의 탄소배출 등이 있으며 사업별 대응 우선순위로는 에너지 효율 설비 도입, 친환경 에너지 및 자재 사용 확대 등이 있습니다.

두손가락을 이용해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물리적 위험 대응 전략

CJ대한통운은 이러한 물리적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IPCC 평가보고서(AR5)의 대표농도경로(RCP)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2℃ 상승(RCP 2.6) 및 4℃ 상승(RCP 8.5)에 따른 다양한 자연재해 유형(홍수, 폭염, 화재, 한파)으로 인한 유형자산 피해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거점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대응 우선순위를 수립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시나리오 분석 결과는 사업부문별 리스크 대응계획 및 인프라 투자 전략에 반영되고 있으며, 운영 중단을 최소화하고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적 개선 방향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CJ대한통운은 향후 기후 시스템의 불확실성 증가에 대비하여, 기후 리스크 통합관리체계를 강화하고, 물리적 리스크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통해 지속가능한 물류 네트워크 운영 기반을 마련해 나가고 있습니다.

CJ대한통운은 물리적 리스크 대응 전략을 사업부 별로 구체화했습니다. CL사업 부문에서는 기후 회복탄력성을 고려한 인프라 설계, 설비의 내기후성 강화, 자연 재해 발생시 대응 매뉴얼 및 복구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택배사업 부문은 침수 취약지역 사전 리스크 평가, 기상 예보 기반 탄력적 배송체계 운영, 기후적응형 구조 개편 등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글로벌사업 부분은 국가 및 거저별 리스크 분석, 복수 운송 경로 확보, 현치와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공급망 회복탄력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기후 리스크 감시 체계를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건설사업 부문은 기후 회복탄력성 요소를 반영한 설계 및 자재 선택, 기상정보 기반 일정 조정, 작업자 안전 프로토콜 강화, 기사 아고하 대응 시나리오 적용 등 기후적응현 건설 전략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두손가락을 이용해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기반의 저탄소 물류서비스 전환 전략

CJ대한통운은 1.5℃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한 글로벌 논의가 강화됨에 따라, 향후 탄소 규제 강화, 친환경 기술 발전, 시장 수요 변화, 사회적 기대 수준의 제고 등 전방위적인 불확실성과 역동성에 대응하기 위해, 과학 기반의 전환 시나리오에 기반한 전략적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특히, IEA Net Zero 2050, IPCC SSP1-1.9 등 객관적이고 검증된 1.5℃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당사의 물류 인프라 및 운송 사업모델이 직면할 수 있는 전환 리스크 요인과 새로운 기회 요소를 다각도로 식별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존 사업 전략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탄소중립이라는 장기 목표 달성을 위해, 핵심 사업인 물류 가치사슬 전반을 아우르는 저탄소 운송수단 도입, 에너지 고효율 물류 인프라 구축, 글로벌 저탄소 물류서비스 확산의 3단계 전략을 중심으로 전환리스크 대응체계를 수립하고 실행하고 있습니다. 각 사업부문별 자산 구조와 리스크 노출 특성을 고려하여, 운송자산과 고정자산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체계적인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전개함으로써, 전사 차원의 탄소중립 실현 기반을 다져가고 있습니다.

CJ대한통운은 3단계 전략을 중심으로 전환 리스크 대응체계를 수립하고 실행하고 있습니다. 먼저 친환경 물류를 위해 친환경 운송 수단으로 전환하고 저탄소 상생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저탄소 물류 인프라를 확산하며 저탄소 물류 서비스를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글로벌 저탄소 물류 서비스를 확대하겠습니다.

두손가락을 이용해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실 수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

CJ대한통운은 기후변화로 인한 불확실성이 사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기후 관련 리스크 및 기회에 대한 식별, 평가, 우선순위 설정,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기업의 전사적 위험관리(ERM) 체계와 통합하여 지속가능한 사업 운영의 핵심 기반으로 삼고 있습니다.

CJ대한통운은 기후 관련 리스크 및 기회에 대한 식별, 평가, 우선순위 설정,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기업의 전사적 위험관리(ERM) 체계와 통합하고 있습니다. 먼저 영향관리 단계에서는 과학적 시나리오 기반으로 전체 자산에 대한 물리적 리스크를 분석하여 탄소중립 전략과 연계한 지속가능한 저탄소 물류서비스 전략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리스크 정의, 평가, 모니터링 및 보고 단계에서는 2024년 기후변화 대응 및 온실가스 관리와 관련한 운영 리스크, 규제 리스크, 환경 리스크 등을 정의했습니다. 리스크 관리 단계에서는 각 리스크 이슈에 대해 수준을 평가하고 고위험 항목에 대해서는 내부 리스크 관리체계와 연계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두손가락을 이용해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실 수 있습니다.

리스크 발생 가능성에 따라 희박, 낮음, 보통, 높음, 확실의 5단계로 분류했으며 심각성은 경미, 낮음, 중대, 매우중대의 4단계로 분류했습니다. 발생 가능성과 심각성을 고려한 리스크 등급을 매트리스화하여 구분하고 있습니다.

두손가락을 이용해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실 수 있습니다.

지표 및 목표

온실가스 절대 총 배출량

CJ대한통운의 2024년 국내 탄소배출량은 약 228,750tCO2eq입니다. 전체 배출량 중 Scope2 온실가스의 배출 비중은 52%로 123,023tCO2eq로 산정되었습니다. Scope 2 온실가스 배출량은 사업장 및 건물이 배출하는 고정자산 배출량과 운송수단이 배출하는 이동자산의 배출량으로 집계되며, 물류 운송수단의 전기자동차 전환으로 인한 이동자산의 전력 사용에 따른 배출량은 기준년도 대비 10배 이상 증가하였으나, 전체 Scope 1 배출량은 기준년도 대비 약 11% 감소하여, 2024년 105,745 tCO2eq를 배출하였습니다.
탄소중립 전략 이행 및 저탄소물류서비스 제공을 위한 물류 운송수단의 전기차 전환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로 Scope2 배출량은 향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주요 국가의 재생에너지 전력 공급의 확대에 따라, 전력 사용에 따른 배출량은 지속적인 감소가 예상됩니다.

[기준연도 대비 2024년도 온실가스 배출량]

CJ대한통운의 2024년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228,750tCO₂eq이며, 이는 당해 연도 배출량 목표치인 228,494tCO₂eq 대비 소폭 상회한 수준입니다. Scope 1 배출량은 기준년도(2021년) 대비 약 11% 감소하여, 2024년 105,745tCO2eq를 배출하였습니다. Scope 2 배출량은 123,023tCO2eq로 전체 배출량의 52%를 차지했습니다.

두손가락을 이용해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실 수 있습니다.

온실가스 집약도

CJ대한통운은 탄소중립 전략과 지속가능한 저탄소 물류서비스 제공을 위한 3대 추진방향과 7대 전략 테마를 연계하여 이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한 핵심 관리 지표로 경제가치 대비 온실가스 집약도 관리를 통해 국내 물류, 건설, 리조트 사업의 기후변화 대응 및 저탄소 전환의 이행을 점검합니다. 2024년 단위 매출액 당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는 기준년도 대비 약 6 % 감축 집계되었으나, 탄소중립 2030 목표인 BAU 대비 37% 저감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아직 미흡한 수준입니다. CJ대한통운은 국내 탄소중립 목표를 지속적으로 이행 및 관리하고, 글로벌 저탄소 물류서비스 전환을 위한 글로벌 탄소중립 전략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도 등 글로벌 주요 사업장을 중심으로 탄소중립 전략의 범위를 확대하고, Scope3 배출량 산정을 고도화할 계획입니다.

(단위 : tCO2eq/억 원)

온실가스 집약도를 연도, Scope1+Scope2, Scope1, Scope2 순으로 제공함.
구분 2021년 2024년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 (scope1+2) 2.02 1.89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 (scope1) 1.05 0.87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 (scope2) 0.97 1.02
CJ대한통운은 국내 탄소중립 목표를 지속적으로 이행 및 관리하고, 글로벌 저탄소 물류서비스 전환을 위한 글로벌 탄소중립 전략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두손가락을 이용해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실 수 있습니다.

Scope 3 배출량 산정 고도화 (Category 9)

CJ대한통운은 고객사에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계약운송사, 가맹점, 개별 운송기사 등의 제3자 위탁업체의 차량을 활용하고 있으며, 해당 차량의 소유 및 연료 구매는 위탁업체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해당 운송 활동은 고객사의 제품이 최종 소비자 혹은 유통 채널로 이동하는 과정에 해당하며, CJ대한통운이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로서 계약과 운송 관리를 수행합니다. GHG Protocol 기준에 따르면, 제품의 이동 방향이 조직의 외부(소비자 등)로 향하고, 운송 서비스가 조직의 핵심 사업활동 일부로 수행되는 경우, 해당 운송활동에서 발생하는 제3자 차량의 배출량은 Scope 3-Category 9 (Downstream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로 분류합니다. 따라서 CJ대한통운은 물류 서비스 전 과정의 탄소배출량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저탄소 물류 기반의 기후영향을 정량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으로, 고객사 제품 유통을 위한 제3자 위탁 차량 운행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자사 Scope 3-Category 9로 산정·관리할 수 있도록 기준년도 배출량 산정을 고도화했습니다. 이는 물류 서비스 전 과정의 탄소배출량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저탄소 물류 서비스 기반의 기후영향을 정량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입니다.
CJ대한통운은 탄소중립 이행을 통한 저탄소 물류서비스로의 전환을 위하여 기준연도 Scope 3 배출량 산정을 보완 및 고도화하였습니다. CJ 대한통운은 소유 및 계약 차량은 Scope 1 배출량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프랜차이즈 및 기타 계약은 Scope 3-Category 9으로 산정하였습니다. 2021년도 기준연도의 국내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운송수단의 총 배출량1)은 1,019,648 tCO2eq로 산정되었으며, 이중 89%가 Scope 3-Category 9에 해당 됩니다. CJ 대한통운은 소유 자산의 탄소중립 전략 이행뿐만 아니라, 협력사의 탄소중립 이행을 적극 지원하여 저탄소 상생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습니다.

1) 운송수단의 총 배출량 = scope1 이동연소 + scope2 이동연소 + scope3 cat9

2021년 Scope 3 배출량

(단위: tCO2eq) CJ대한통운은 제3자 위탁 차량 운행(프랜차이즈 및 기타 계약)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자사 Scope 3-Category 9로 산정·관리할 수 있도록 기준년도 배출량 산정을 고도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Scope3 산출량은 구매물품과 서비스 관련 category 1, 연료 및 에너지 관련 활동의 category 3, 운송 및 배송 관련한 category 9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준연도인 2021년 scope3 총 배출량은 997,441tco2eq, 2024년의 scope3 총 배출량은 1,061,244tco2eq입니다.

2024년 Scope 3 배출량

(단위: tCO2eq) CJ대한통운은 제3자 위탁 차량 운행(프랜차이즈 및 기타 계약)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자사 Scope 3-Category 9로 산정·관리할 수 있도록 기준년도 배출량 산정을 고도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Scope3 산출량은 구매물품과 서비스 관련 category 1, 연료 및 에너지 관련 활동의 category 3, 운송 및 배송 관련한 category 9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준연도인 2021년 scope3 총 배출량은 997,441tco2eq, 2024년의 scope3 총 배출량은 1,061,244tco2eq입니다.

Scope 3 배출량 산정 방법론

CJ대한통운은 고객사에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투입되는 운송 차량의 차종(Load Capacity Type), 연료 유형(Fuel Type), 운영 형태(Ownership Type)를 기준으로 운송 자산 현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다만, 전체 위탁 차량의 실제 연료 투입량은 현재 집계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Scope 3 – Category 9 (Downstream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 배출량 산정을 위해 공공 통계 기반의 계수화 방식을 적용하였습니다.

CJ대한통운은 Scope 3-Category 9(Downstream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 배출량 산정을 위해 공공 통계 기반의 계수화 방식을 적용하였습니다.

두손가락을 이용해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실 수 있습니다.

신뢰성 결과, 통계 기반 방식으로 추정한 배출량과 연료 사용량 간 정합성이 96%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본 방법론이 배출량 산정의 대표성과 실효성을 갖춘 기준 방법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입증합니다. CJ대한통운은 향후 실제 주행데이터, 연료 거래 기록 등의 고도화된 정보 기반을 확보하여, 배출량 산정 체계의 정밀성과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2024년 Scope 3 배출량 Category 9

CJ대한통운은 기준년도 Scope 3 배출량의 89%를 차지하는 Category 9 배출량을 공공 통계를 기반으로 한 계수화 방식으로 산정하였습니다. 2024년 해당 범주의 배출량은 총 965,827 tCO₂eq로, 이는 같은 해 국내 물류서비스 제공을 위해 발생한 총 운송 수단 배출량 1,067,891 tCO₂eq의 약 90%에 해당합니다. 2024년 Scope 3 배출량 산정 대상 차량 수는 기준연도 대비 5% 증가하였으며, 전체 Category 9 배출량 또한 이에 따라 6.6% 증가하여, 차량당 약 2.4%의 배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본 배출량은 모든 차량이 경유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보수적으로 산정되었습니다. 한편, CJ대한통운은2024년 국내 물류서비스를 수행한 총 35,017대의 운송 수단 중 2,095대를 전기차로 전환하여, 약 6%의 전기차 전환율을 달성하였습니다.

(단위 : tCO2eq)

2024년 Scope 3 배출량 Category 9 현황을 구분, 연도, Category 9 배출량 (tCO2eq), Category 9 차량당 온실가스 집약도 (tCO2eq / 연간 차량 사용) 순으로 제공함.
구분 2021년 2024년
Category 9 배출량 905,540 965,827
Category 9 차량당 온실가스 집약도 (연간 차량 사용) 28.8 29.6

인쇄 최적화를 위한 설정

* Internet Explorer는 [인쇄 미리보기]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하셔야 합니다.

1. 필수 항목
- [설정]에서 배경 및 이미지도 인쇄할 수 있도록 체크

2. 선택 항목
- 여백 없음 또는 0으로 설정
- 화면 배율 65% 설정 (추천)

SNS 공유 및 프린트 영역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
24시간 챗봇상담으로 간편하게 문의하세요